간단한 원리부터 출발해보자
이자가 뭔지는 대충 알지만,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들이 달라질 수 있어요. 단리와 복리, 이 두 가지 개념이 있는데 이게 모든 걸 좌우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에요. 반면에 복리는 원금과 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이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많은 이익을 줍니다. 이 끊임없는 반복이 복리의 마술 같은 점이라 할 수 있죠. 이 차이를 알고 있으면 어디에 돈을 넣고 싶을지 느낌이 오지 않을까요?
한 번 계산해보면 쉬워지는 것들
많은 사람들은 스스로 이자를 계산하는 걸 어려워합니다. 하지만 일단 한 번 시도해보면 생각보다 쉬운 일이에요. 기본적인 수식만 이해하면 직접 엑셀 같은 도구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은행이나 재무 사이트에 계좌를 개설하고 이 계산을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을 쓰기 전에 한번 수동으로 계산해 보는 건 어떨까요? 어떤 투자 상품을 선택할까 고민될 때도 여기에 의존해 볼 수 있죠. 계산기나 스마트폰 앱을 사용해도 좋고요.
예금과 적금, 뭐가 다를까
뉴스나 주변에서 예금 이율이 오르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행여나 놓칠까 부리나케 은행으로 달려가곤 해요. 그런데 예금과 적금 둘 다 같은 걸까요? 단기적으로 여유 자금이 생길 땐 예금이 맞을 수도 있어요. 한데,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넣고 싶다면 적금이 더 나을 수도 있겠죠. 예금은 목돈을 한 번에 넣고 기다리는 데 유리하고, 적금은 매달 저축해 이자를 쌓아가는 방식이라 각각의 성격에 맞춰 선택하는 게 중요하겠죠?
대출을 받을 때 고려할 점들
대출을 받으면 왜 자꾸 예기치 않게 늘어날까 하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하셨을 거예요. 대출은 원리금 상환액뿐 아니라 이자율과 상환 계획까지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 원금 균등 상환과 원리금 균등 상환… 각종 선택 사항이 많아요. 금리가 올라갈수록 상환 금액이 커진다는 사실도 기억해 둬야 하죠. 그러니 금융 상품을 고르기 전에 시간 내서 정말 신중하게 생각해 보는 게 필요합니다.
결국, 이자 계산이란 것은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그 뒤에는 우리의 생활 방식과 가정의 경제 계획이 보이죠. 전 그냥, 그게 제일 편하더라고요. 조금씩, 차근차근 해나가면 될 것 같아요.
이자 계산 FAQ
- 01. 이자 계산기 쓰는 게 진짜 편한가요? 제가 잘 쓸 수 있을까요?
요즘엔 이자 계산기가 워낙 직관적이라 걱정 안 하셔도 될 거예요. 사실 저도 처음엔 잔뜩 겁먹고 시작했는데, 몇 번 눌러 보니까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감이 잡히더라고요. 대출이나 대출 이자의 복잡한 부분들을 한 번에 해결해 주니까, 사용하다 보면 ‘아, 이걸 어떻게 안 쓰고 살았지?’ 싶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엔 조금 살펴보면서 진행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 02. 이자 계산 방법이 너무 복잡한데 쉽게 설명 좀 해주실 수 있을까요?
이해해요, 처음엔 저도 머리가 지끈했어요. 그런데 알고 보면 단리와 복리 계산법만 이해하면 된다니까요. 단리는 말 그대로 처음에 넣은 원금에다가 이자율을 곱하는 거고, 복리는 좀 더 돈이 불어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예금에 대한 이자가 매년 원금에 붙으니까 이제는 원금 플러스 작년 이자분까지 합한 것에 이자 붙는 거죠.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금액이 점점 커지는 매력이 있답니다.
- 03. 복리 이자 계산하는 법 좀 쉽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뭐, 복리가 조금 헷갈릴 수 있죠! 쉽게 말하면, 복리는 일단 돈이 마법처럼 불어나는 방식이거든요. 예를 들어서 연 5%의 복리 이자가 붙는다면, 100만 원을 넣고 1년 후에 5% 이자 5만 원이 붙어서 105만 원이 되죠. 그런데 복리는 그 105만 원이 새 원금이 되는 거라 2년째도 5%가 아니라, 이 105만 원에서 또 5%가 붙는다는 거예요.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좀 더 붙는 이자가 많아지는데, 이게 복리의 묘미입니다.

블로그 컨설팅 전문가 성진호입니다. 다양하고 재미있는 이슈 포스팅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성진호 전문가가 추천하는 글